전체서비스
상위로 이동

법무법인 율립

성공사례

[민사] 평균임금이 통상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산정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한 사례

관리자|2023-04-05|조회 2,032

평균임금이 통상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산정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한 사례 (서울남부지방법원 2023. 3. 28. 선고)

 

대학교에서 용역업체 소속으로 청소, 시설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다가 퇴직한 근로자들에 대하여 해당 용역업체는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산정하여 지급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한 퇴직금 액수에 미치지 못했고, 위 근로자들은 근로기준법 제2조 제2항(평균임금이 근로자의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통상임금액을 평균임금으로 한다)에 따라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한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며 통상임금 기준으로 산정한 퇴직금과 지급된 퇴직금의 차액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사용자측에서는 근로기준법 제2조 제2항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에 보충적으로 적용되어야 하고, 이 사안에서 통상임금을 평균임금으로 하여 퇴직금을 지급하게 되면 예상하지 못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에 된다는 취지로 다투었습니다. 그리고 근로자들이 통상임금이 아닌 평균임금으로 퇴직금을 산정하여 지급한 것은 통상임금 기준 산정금액과 평균임금 기준 산정금액의 차액만큼 임금체불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사용자를 고소한 사건에서 혐의없음 처분이 나왔으므로 지급의무가 없다는 취지로도 다투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사용자측의 주장을 배척하였고,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한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였습니다. 

 

퇴직금 산정 시, 퇴직 후에도 근로자가 최소한의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균임금이 통상임금에 미치지 못할 경우 통상임금으로 퇴직금을 산정하도록 한 관련 법령의 취지에 부합하는 판결이 선고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 0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11[노무] 스스로 프리랜서계약을 선택한 강사들이 퇴사 후 근로자라 주장하며 진정을 제기한 사안에서, 사용자인 의뢰인의 지휘·감독이 전무하였음을 입증하여 이를 기각시킨 사례

관리자

2025.03.04703
10[노동] 국립대학 시간강사에게 퇴직금, 주휴수당, 연차휴가수당에 관한 권리가 있음을 확인한 사건

관리자

2025.03.06641
9[민사] 조합원 지위를 상실한 자가 조합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조합을 대리하여 승소한 사안

관리자

2025.03.06709
8[가사] 연락 두절된 배우자와 공시송달 절차를 통해 이혼 판결을 받은 사례

관리자

2025.03.06706
7[민사] 물품 공급계약이 체결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상대방에게 물품대금 전액을 청구하여 인정받은 사례

관리자

2025.03.06713
6[민사] 공사대금 청구 소송에서 대금 청구가 상당 부분 인용된 사례

관리자

2025.07.2416
5[형사] 건설노동자 7인에 대한 업무방해 혐의 무죄 확정 사례

관리자

2025.07.2417
4[민사] 구두 계약과 견적서만으로 체결된 기계 납품계약에서 대금청구 전부 인용된 사례

관리자

2025.07.2421
3[노동] 징계를 가중할 근거가 없음에도 재심절차에서 징계를 가중한 것이 무효임을 확인한 사건

관리자

2025.07.2449
2[형사] 구비전승된 무가를 책으로 발간하는 작업을 한 연구자를 지은이로 표시한 것에 대해 저작권법 위반의 죄책을 물을 수 없다고 한 사안

관리자

2025.07.2431
8 페이지로 이동 91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