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서비스
상위로 이동

법무법인 율립

성공사례

[임금] 포괄임금제로 급여를 지급받은 경비원에게도 최저임금을 지급하라는 판결 선고(항소심)

관리자|2022-05-04|조회 2,183

포괄임금제로 급여를 지급받은 경비원에게도 최저임금을 지급하라는 판결 선고(항소심)

(서울북부지방법원  2022.2.8. 선고)

 

 

원고는 2011년경부터 건물 경비원으로 일하다가 2018. 12.경 퇴사한 자인데, 원고는 재직 당시 새벽 06:00부터 익일 06:00까지 격일로 24시간을 근무하였습니다.

 

피고 회사는 원고 재직 시 감시 · 단속적 근로 적용제외 승인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장 · 야간 근로 등에 대한 가산 수당을 지급하지 않았고, 원고 입사 시부터 2017. 12.까지는 월 1,050,000원, 2018. 1.부터 퇴사 시까지는 월 1,100,000원의 기본급만을 지급하였습니다.

 

이에 대하여 서울북부지방법원은 원고의 중식, 석식 시간 역시 실질적으로 피고의 지휘 · 감독을 벗어나 자유로운 이용이 보장되는 휴게 · 수면시간이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원고의 근로시간은 오전 01:30분부터 오전 6시까지의 야간시간을 제외한 모든 시간으로 보았고, 

 

또한 사용자가 고용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경우 외에는 감시 또는 단속적으로 근로에 종사하는 자라 하더라도 최저임금법상의 최저임금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는데, 피고가 고용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이상, 원고의 급여를 원고의 위 근로시간으로 나누어보면 원고의 시간급은 최저임금에 미달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피고는 원고에게 최저임금 미달 차액 및 미지급 연장 · 야간근로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항소심에서는 연차휴가수당 및 해고예고수당까지 인정하였습니다.이러한 판결을 통하여 경비 업무의 특성을 앞세워 법령이 정하는 최소한의 임금도 지급하지 않은 채 장시간 근로자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고용 방식 및 급여 지급 관행이 개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1심 판결 관련 - 성공사례 7번 게시물

댓글 0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104[가사] 연락 두절된 배우자와 공시송달 절차를 통해 이혼 판결을 받은 사례

관리자

2025.03.06988
103[민사] 조합원 지위를 상실한 자가 조합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조합을 대리하여 승소한 사안

관리자

2025.03.06846
102[노동] 국립대학 시간강사에게 퇴직금, 주휴수당, 연차휴가수당에 관한 권리가 있음을 확인한 사건

관리자

2025.03.06842
101[노무] 스스로 프리랜서계약을 선택한 강사들이 퇴사 후 근로자라 주장하며 진정을 제기한 사안에서, 사용자인 의뢰인의 지휘·감독이 전무하였음을 입증하여 이를 기각시킨 사례

관리자

2025.03.04862
100[형사]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제기한 박정훈 대령, 무죄

관리자

2025.02.11959
99[행정] 대학교수의 국가공무원법 위반 (제56조 성실의무 및 제63조 품위유지의 의무 위반)을 이유로 한 견책처분에 대해 취소소송을 제기하여, 견책처분이 취소된 사례

관리자

2025.02.051,030
98[민사] 비법인사단의 대표와 감사로 선출된 의뢰인들을 대리하여 이를 불인정하는 전임 대표 측을 상대로 의뢰인들의 지위를 모두 확인받은 사례

관리자

2025.02.05972
97[형사]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위반으로 기소되었으나 무죄를 받은 사안

관리자

2025.01.141,078
96[형사·노동] 업무방해죄로 기소된 건설노조원 7명 전원 항소심서도 무죄

관리자

2025.01.141,046
95[민사] 퇴사 전 퇴직금 포기각서를 작성하도록 강요하고 이에 따라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은 사업주에게 퇴직금 지급 의무가 있다고 인정한 판결

관리자

2025.01.141,043
1234 5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