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전화

02-6952-1194

업무시간:
평일 am 09:00 ~ pm 18:00

FAX 02-6952-1094

[오민애 변호사] <세월호 참사 10주기> 풀리지 않은 사찰 의혹

일요시사

<세월호 참사 10주기> 풀리지 않은 사찰 의혹

(오혁진 기자  2024. 04. 15. 10:45)

 

그날 진실은 그냥 그대로


4·16 세월호 참사가 어느덧 10주기를 맞았다. 그간 법과 제도에 변화가 생겼으나 '정확한 진실'은 드러난 바 없다. 책임자 처벌은 민간에만 집중됐다. 세월호 유가족 사찰 의혹도 조용한 건 마찬가지다. 논란의 중심에 있는 기무사 간부들 대부분은 윤석열정부서 사면됐다. 심지어 복권된 인사도 있다. 윤정부가 앞장서서 면죄부를 던져준 꼴이다.

 

세월호 참자와 관련해 형사 책임을 묻는 사법부 판단은 지난해 모두 마무리됐다.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유죄가 인정된 정부 측 관계자는 단 한 명이다. 유가족 사찰 의혹을 받는 기무사 간부들도 유죄를 받았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가 사면·복권 처리하면서 유족들과 시민단체가 함께 노력한 10년의 세월은 수포로 돌아갔다.

 

정보당국 공개

안 하는 이유

 

검찰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이하 특수단, 단장 임관혁 현 대전고검장)은 2020년부터 1년 넘게 세월호 참사를 수사했다. 해경 지휘부의 구조 실패와 박근혜정부 청와대의 진상규명 방해에 대한 책임을 물으려 했으나 사살상 실패했다. 10여개가 넘는 의혹 사건들을 무혐의 처분한 것이다

 

인명구조에 실패한 해경을 수사한 검찰에 외압을 행사한 의혹을 받는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 대표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해서도 특수단은 "(외압)지시가 있었는지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다'며 '혐의 없음' 결론을 내렸다. 참사 당일 발견 후 신속하게 이송되지 않아 사망했다는 고 임경빈군 구조 방기 의혹에 대해서도 검찰은 사살이 아니라고 봤다.

 

특수단은 크게 ▲세월호 침몰 원인 ▲해경 구조 책임 ▲진상규명 방해 ▲증거 조작 은폐 ▲정보기관 사찰 등으로 사건 유형을 나눠 수사해 왔는데, 이와 관련된 17가지 의혹 사건 중 12개 사건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법무부의 수사외압 의혹 사건도 여기에 포함됐다. 해당 사건은 2014년 7월 광주지검이 세월호 사건 현장서 인명 구조에 실패한 목포해경 소속 김경일 전 해경123 정장에게 업무상과실치상죄로 구속영장을 청구하려 하자, 법무부가 '해당 혐의는 빼고 영장을 청구하라'는 취지로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골자였다.

 

당시 법무부 장관이던 황 전 대표는 "법무부 검찰국으로부터 123정장에 대한 업무상과실치상죄에 대해 법리검토와 보완조사가 필요하다는 보고를 들었을 뿐, 해당 혐의가 구속영장 청구 과정서 제외된 경위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아는 바가 없다"고 해명했다.

 

우 전 수석도 "청와대 민정수석실서 법무부나 대검 등에 의견을 제시한 게 없었다"고 주장했다.

 

특수단은 여론의 공분을 샀던 임군 구조 방기 의혹도 상당 부분 사살이 아니라고 봤다. 이 의혹은 참사 당일 구조된 임군이 생존해 있었음에도, 해경이 헬기를 이용해 신속히 병원으로 옮기는 대신 함정으로 '지연 이송'해 임군을 사실상 숨지게 했다는 내용이다.

 

특수단 수사 불구 10개 넘는 의혹 무혐의

청와대 직접 개입 물적 증거는 확보 못해

 

특수단은 "해경 지휘부의 지시, 승인에 따라 임군이 헬기가 아닌 함정으로 병원에 이송된 사실은 인정된다"면서도 임군이 구조 당시 이미 사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임군을 처음 발견한 해경이 '구조 당시 얼굴은 물속에 잠겨있었고, 몸은 이미 굳어있었다'고 진술한 점, 발견 당시 해경 문자 대화방 등에서 피해자를 '시신'으로 지칭한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참사 후 기무사가 세월호 유족을 사찰했다는 의혹도 무혐의 처분됐다. 특수단은 해당 의혹으로 유가족들에게 고소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과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기무사로부터 세월호 유가족들의 동향이 일부 기재된 보고서를 받아본 사실은 인정됐다고 했다.

 

(중략)

 

오민애 민변 세월호 대응 TF 변호사는 "국정원 개혁위서도 세월호 참사 피해자와 시민들에 대한 사찰이 직무 범위를 벗어난 것이기 때문에 징계 여부를 검토하고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권고했지만, 지금까지 달라진 것은 없다"며 "세월호 참사의 피해자와 전 특조위원과 조사관, 시민사회 단체 등이 당사자가 돼 국정원서 수집한 개인 관련 혹은 단체 관련 정보와 생산하거나 보고받은 정보의 공개를 청구한"고 밝혔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기사의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ilyosisa.co.kr/news/article.html?no=243173

첨부파일 다운로드

확장자는png240415 기사_일요시사.png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24-05-02

조회수20

 
스팸방지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