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서비스
상위로 이동

법무법인 율립

언론보도

[하주희 변호사] 참여 재판·기피 신청 반복…공안사건 재판 지연 대책은?

관리자|2024-01-09|조회 2,144

KBS NEWS

참여 재판·기피 신청 반복…공안사건 재판 지연 대책은?

(김태훈 기자  2023. 11. 30. 21:25)

 

 

[앵커]

이같은 정치권 공방과는 별개로 법조계에서는 송철호 시장은 이미 4년 임기를 마쳤고, 황운하 의원도 남은 임기를 무사히 채울 걸로 예상되다면서,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런 식으로 재판이 지연되면 판결의 효력도 약화되는데 이같은 현상은 공안사건 재판에서 자주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법시스템의 헛점을 노리는 재판지연 전략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김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11월 경찰의 압수수색으로 처음 알려진 이른바 '제주 간첩단' 사건.

 

핵심 피의자 3명은 북한의 지령을 받아 국내 정세와 집회·시위 정보를 북한에 넘긴 혐의로 지난 4월 기소됐습니다.

 

그런데 재판은 여덟 달째 공전입니다.

 

피고인들이 국민참여재판을 신청했는데 대법원에서 기각됐습니다.

 

최종 판단까지 일곱 달이란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새 1심 구속기한인 6개월이 임박했고 이번엔 법원에 보석신청을 해 2명이 풀려났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사기관을 고발하거나, 헌법소원을 제기하는 등 다양한 방어권이 총동원됐습니다.

 

[하주희/민변 사무총장 : "형법에 규정돼서 피고인이 공정하게 재판받을 수 있도록 제도도 만든거고 절차도 규정해 놓은 거기 때문에..."]

 

법조계 일부에선 피고인의 방어권을 위한 제도들이 재판 지연 전략에 악용되고 있다고 비판합니다.



(하략)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기사의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169[김유정 변호사] '검사탄핵' 첫 변론…"소추권 남용" vs "검사도 처벌받아야"

관리자

2024.03.042,029
168[하주희 변호사] 야4당 공동 토론회서 나온 정치개혁 과제들...“새 국회 처음부터 함께해야”

관리자

2024.03.041,939
167[하주희 변호사] ‘문재인 정부 1호 간첩 사건’ 5년 5개월 만에 대법원서 무죄 확정

관리자

2024.03.042,081
166[하주희 변호사] ‘채 상병 사건’ 국조 촉구 2만명 서명 전달…“김진표 의장, 언제까지 외면할텐가”

관리자

2024.03.042,020
165[김유정 변호사] 이정섭 검사 탄핵재판 시작…"탄핵대상 아냐" vs "의무 위반"

관리자

2024.02.052,113
164[하주희 변호사] 서울시가 해고한 최중증장애인노동자 400명, 원직복직 투쟁 본격 시작

관리자

2024.02.052,037
163[오민애 변호사] "국회의원 끌어낸 대통령, 소통 약속 사라져"

관리자

2024.02.052,022
162[하주희 변호사] 민변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대단히 부적절··· 해결안 고심할 단계”

관리자

2024.02.052,015
161[신의철 변호사] 요양보호사 경쟁업체 설립 금지 근로계약 무효··· 제천 파란사회서비스센터 노동자들 손배 항소심 승소

관리자

2024.02.052,034
160[김유정 변호사] 서울경찰청장 기소 고민 깊은 검찰…“용산서장 사건 판박이인데 왜?”

관리자

2024.01.092,128
8 페이지로 이동 9101112 13 페이지로 이동